샴페인이 무엇인지, 샴페인이 어떻게 만들어 지는지 알아보려면
아래 링크를 참조하실 수 있습니다:)
5분만에 톺아보는 샴페인 1
“이거 샴페인 아닌가요?”
“비슷하게 생겼는데 얘는 왜 샴페인이고
쟤는 샴페인이 아닌가요?”
혹시 와인을 보고 이런 궁금증이 들어 본 적이 있으신가요?
그렇다면 간단하게 스파클링 와인과 샴페인에 대해 알아보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스파클링 와인
탄산이 있는 발포성 와인을 통칭하는 말.
각 나라마다, 만드는 방법마다 지칭하는 표현이 다르다
샴페인
‘프랑스 샹파뉴’ 지역에서만 생산된 포도로 만든
‘정통 샴페인 제조법’1에 따라 만든 스파클링 와인
- 정통 샴페인 제조법
1차 발효를 끝낸 와인을 병입한 다음,
병에 리큐어(설탕 시럽 + 리저브 와인)을 첨가하여
와인 병 마개를 철사로 단단히 고정한 후 병 안에서 2차 발효 ↩︎
결론적으로

serenity1126.cafe24.com
스파클링 와인이라는 넓은 범위 안에
비교적 엄격한 기준과 지역 안에서 만든 특정한 스파클링 와인을
샴페인 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나라, 지역별 스파클링 와인 명칭
프랑스
- 샴페인 : 프랑스 샹파뉴 지역에서 난 포도, 정통 샴페인 제조법
- 크레망 : 프랑스 샹파뉴 지역이 아닌 부르고뉴, 알자스, 루아르 지방
등 다른 지방에서 만든 와인. 일반적으로 샴페인 제조법을 따름. - 뱅 무소 : 샹파뉴가 아닌 지역에서 샴페인식이 아닌 방법으로 만든
프랑스 스파클링 와인
이탈리아
- 스푸만테 : 이탈리아의 일반적인 스파클링 와인의 통칭
- 프로세코 : 이탈리아 북부 지역의 전통 방식으로 만든 스파클링
스페인
- 에스푸모소 : 까바 이외의 대중적인 스페인 스파클링 와인 통칭
- 까바 : 스페인 카탈루냐 지역에서 샴페인 방식으로 만든 스파클링
포르투갈
- 에스푸만테 : 포르투갈의 스파클링 와인 통칭
독일
- 샤움바인 : 독일의 일반적인 스파클링 와인
- 젝트 : 샴페인 전통 방식으로 만든 독일의 스파클링 와인
샴페인의 종류
샴페인의 종류를 나누는 기준은 다양합니다
수확 연도에 따른 구분, 양조 방식에 따른 구분,
당도에 따른 구분 등이 있습니다
수확 연도에 따른 구분
- Vintage : 수확이 뛰어났던 특별한 해의 포도만을 사용하여
적어도 3년 이상 숙성한 다음 양조한 샴페인
고급 샴페인 브랜드의 경우, 매년 샴페인을 출시하는것이 아니라
수확이 좋았던 해에만 양조한 샴페인을 생산하여 고급화를 꾀하는 경우도 있다 - Non-Vintage : 두 세개의 빈티지를 블랜딩하여 맛을 서로 상호보완하여 만드는 샴페인
전 세계 샴페인의 85% 가량을 차지한다
포도 품종과 색에 따른 구분
- 블랑 드 누아 (Blanc de Noir) : 피노 누아, 피노 므니에를 사용하여 만든 샴페인.
적포도의 껍질을벗겨 샴페인을 만든다 - 블랑 드 블랑(Blanc de Blanc) : 샤도네이라는 청포도로 만든 샴페인
당도에 따른 구분
- Brut : 당 1.5%이하로 들어간 샴페인. 달지 않음
- Extra Sec / Extra Dry : 당 1.2-2% 함유. 약간의 잔당감
- Sec : 당 1.7-3.5% 함유. 중간 정도의 잔당감
- Doux : 당 5% 이상 함유. 당도 높음

샴페인을 구매하시거나 마실 때 위의 내용을 참고하셔서
마음에 꼭 드는 맛있는 샴페인을 즐기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