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한 샴페인을 찾고 싶다면? RM과 밀레짐을 기억해 보자!

-고급 샴페인의 기준, RM과 밀레짐-

 

안녕하세요:)

어느덧 일년의 1/3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 요즘이네요

문득 시간이 너무 빨리 지나가는 것 같아

시간을 붙잡고 싶었던 적이 있으신가요?

꼭 그렇지는 않더라도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특별한 순간을 기념하고 싶거나

아이가 태어난 해를 기념하거나, 결혼한 해를 기념하는 등등

나에게 특별한 일이 있었던 해라면 그 해를 기념하고 싶은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각기 기념하는 방법과 방식은 다양하지만 그 중에 어떤 분들은

특정 해에 생산된 와인을 특별히 구매하시는 분들이 계시더라구요~

아이가 태어난 해에 와인을 구매해 두었다가, 20살이 되는 해에 함께 마신다던지

결혼한 해에 생산된 와인이나 샴페인을

결혼 30주년에 함꼐 마신다던지 하는 식으로요

참 낭만적인 기념 방식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또 축하나 기념하는 자리에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샴페인이기도 하지요^^

그렇다면 와인 말고 샴페인에도 빈티지가 있을까요?

저도 좀 특별한 샴페인을 구매하고 싶은데.. 방법이 있을까요? 

하시는 분들을 위해 오늘의 주제를 준비해 보았습니다

 

샴페인의 등급을 구분짓는 기준은 너무나 다양하지만

그 중에 오늘 알아볼 부분은

샴페인의 생산 방식에 따른 구분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샴페인에도 생산연도가 있을까?

일반적인 샴페인은 NV:생산년도 미표기로 표기되어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각기 다른 연도의 리저브 와인을 블랜딩하여 가장 맛있는 맛을 이끌어 내죠~

그런데 단일 해에 수확한 포도만으로 양조한 샴페인의 경우라면,

그 점을 특별히 표시해 줌으로 다른 샴페인과 차별화를 둘 것입니다

이때 샴페인에 붙는 표현은 ‘빈티지’가 아니라 ‘밀레짐’ 입니다

즉, 밀레짐 = 빈티지 와 동일한 뜻을 가지고 있는거죠^^

출처 : 구글 (www.google.co.kr)

 

 

 

 

 

 

 

돔페리뇽 라벨에 1966이라고 쓰여 있는 것은

이 샴페인이 1966년에 수확한 포도로 와인을 양조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출처 구글(www.google.co.kr)

반면에 뵈브 클리고 라벨에는 밀레짐이 써있지 않죠?

NV : 다양한 연도에 수확된 포도를 블랜딩한 샴페인 이라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단일 해에 생산된 포도로 샴페인을 양조하거나

여러 해에 생산된 포도로 샴페인을 만들 경우 각기 어떤 장단점이 있을까요?

먼저 NV 샴페인의 경우, 샴페인을 만드는 생산자가

자신이 추구하는 방향에 맞게 샴페인의 맛을 조절할 수 있고,

맛의 품질이 균일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NV 샴페인으로는 파이퍼 하이직이 있습니다

누구나 맛있게 즐길 수 있는 샴페인의 대표주자이지요~

 

반면 밀레짐 샴페인의 경우는 수확이 특히 좋았던 해에만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량이 적어 희소성이 높아지고, 그 해의 특수성을 온전히 반영하는

독특한 풍미를 지니게 되지요

본인이 원하거나 선호하는 맛에 따라서 골라서 즐겨볼 수 있겠습니다

대표적 밀레지 샴페인으로는 돔페리뇽 등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밀레짐 샴페인은 논 빈티지 샴페인에 비해

고급 샴페인이라는 인식이 있지요

알아본 김에 고급 샴페인의 척도를 결정짓는 또 하나의 기준을 살펴볼까요?

 

 

RM과 NM

RM 샴페인이란, BTS 멤버가 좋아하는 샴페인이 아니라

Recoltant Manipulant의 준말로

자신의 포도밭을 가지고 포도를 재배하여

그 밭에서 난 포도만을 가지고 샴페인을 양조하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다른 포도밭에서 난 포도가 조금이라고 들어갈 경우,

NM(Negociant Manipulant)이라고 표기해야 합니다

 

출처 구글(www.google.co.kr)

프랑스 지역에서도 샴페인을 생산할 수 있는 곳은

저 샹빠뉴 지역 한 곳 뿐이라는 점은 지난번 글에서 다룬 적이 있지요

이거 샴페인인가요? 스파클링인가요?

-위 글을 참조해보실 수 있습니다:)

 

샴페인의 성지로 불리는 샹빠뉴 지역에서

자신의 포도밭을 가지고, 그 포도밭에서 난 포도로만 샴페인을 양조할 수 있을

정도가 되려면 자본과 재배 경험, 기술력 모두 뒷받침되어야겠죠!

그래서 RM이 표기된 샴페인의 경우, 굉장히 고급 샴페인으로 통합니다

출처 : 구글 (www.google.co.kr)

 

RM 샴페인임이 표기되어 있는 페리에 주에 샴페인 라벨이네요!

RM 샴페인은 일단 생산량 자체가 적고, 매해 빈티지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유니크한 향과 맛을 보여주는 것이 큰 특징입니다

또 대체적으로 RM샴페인 생산자들은 이산화황이나 제초제 등을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바이오다이나믹 농법으로 포도를 생산하기 때문에

밭의 떼루아를 잘 반영하여 독특한 풍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런 점들이 샴페인 애호가들의 사랑을 받는 이유가 되기도 하지요^^

대표적인 RM 샴페인 생산자로는 자크 셀로스, 알랑 바이유 등이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오늘 샴페인의 생산 방식에 따른 표기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여러 해에 수확된 포도를 블렌딩한 샴페인 = NV

단일 해에 수확된 포도로 만든 샴페인 = 밀레짐

—–

자신의 포도밭에서 난 포도로만 양조한 샴페인 = RM

다른 포도밭에서 온 포도가 들어간 샴페인 = NM

 

다음에 샴페인 구매하실 때

RM 샴페인은 없나요?

이건 밀레짐 샴페인인가요? 라고 한번 질문해 보세요!

이런 간단한 질문만으로도

‘나 샴페인 좀 마신다~’ 티를 낼 수 있겠네요! 🙂

그리고 와인샵에 가서도 헤매지 않고 좋은 샴페인을 골라올 수도 있겠고요~

좋은 샴페인과 함께 좋은 사람들과 행복한 시간 보내시길 바랍니다^^

그럼 다음에 또 유익한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

 

 

5분만에 톺아보는 샴페인 2 / 샴페인과 스파클링 와인의 차이, 샴페인의 종류

샴페인이 무엇인지, 샴페인이 어떻게 만들어 지는지 알아보려면
아래 링크를 참조하실 수 있습니다:)

5분만에 톺아보는 샴페인 1




“이거 샴페인 아닌가요?”
“비슷하게 생겼는데 얘는 왜 샴페인이고
쟤는 샴페인이 아닌가요?”

혹시 와인을 보고 이런 궁금증이 들어 본 적이 있으신가요?
그렇다면 간단하게 스파클링 와인과 샴페인에 대해 알아보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스파클링 와인

탄산이 있는 발포성 와인을 통칭하는 말.
각 나라마다, 만드는 방법마다 지칭하는 표현이 다르다

샴페인

‘프랑스 샹파뉴’ 지역에서만 생산된 포도로 만든
‘정통 샴페인 제조법’1에 따라 만든 스파클링 와인

  1. 정통 샴페인 제조법
    1차 발효를 끝낸 와인을 병입한 다음,
    병에 리큐어(설탕 시럽 + 리저브 와인)을 첨가하여
    와인 병 마개를 철사로 단단히 고정한 후 병 안에서 2차 발효 ↩︎

결론적으로

5분만에 톺아보는 샴페인&스파클링 와인
serenity1126.cafe24.com

스파클링 와인이라는 넓은 범위 안에
비교적 엄격한 기준과 지역 안에서 만든 특정한 스파클링 와인을
샴페인 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나라, 지역별 스파클링 와인 명칭

프랑스

  • 샴페인 : 프랑스 샹파뉴 지역에서 난 포도, 정통 샴페인 제조법
  • 크레망 : 프랑스 샹파뉴 지역이 아닌 부르고뉴, 알자스, 루아르 지방
    등 다른 지방에서 만든 와인. 일반적으로 샴페인 제조법을 따름.
  • 뱅 무소 : 샹파뉴가 아닌 지역에서 샴페인식이 아닌 방법으로 만든
    프랑스 스파클링 와인

이탈리아

  • 스푸만테 : 이탈리아의 일반적인 스파클링 와인의 통칭
  • 프로세코 : 이탈리아 북부 지역의 전통 방식으로 만든 스파클링

스페인

  • 에스푸모소 : 까바 이외의 대중적인 스페인 스파클링 와인 통칭
  • 까바 : 스페인 카탈루냐 지역에서 샴페인 방식으로 만든 스파클링

포르투갈

  • 에스푸만테 : 포르투갈의 스파클링 와인 통칭

독일

  • 샤움바인 : 독일의 일반적인 스파클링 와인
  • 젝트 : 샴페인 전통 방식으로 만든 독일의 스파클링 와인




샴페인의 종류

샴페인의 종류를 나누는 기준은 다양합니다
수확 연도에 따른 구분, 양조 방식에 따른 구분,
당도에 따른 구분 등이 있습니다

수확 연도에 따른 구분

  • Vintage : 수확이 뛰어났던 특별한 해의 포도만을 사용하여
    적어도 3년 이상 숙성한 다음 양조한 샴페인
    고급 샴페인 브랜드의 경우, 매년 샴페인을 출시하는것이 아니라
    수확이 좋았던 해에만 양조한 샴페인을 생산하여 고급화를 꾀하는 경우도 있다

  • Non-Vintage : 두 세개의 빈티지를 블랜딩하여 맛을 서로 상호보완하여 만드는 샴페인
    전 세계 샴페인의 85% 가량을 차지한다

포도 품종과 색에 따른 구분

  • 블랑 드 누아 (Blanc de Noir) : 피노 누아, 피노 므니에를 사용하여 만든 샴페인.
    적포도의 껍질을벗겨 샴페인을 만든다
  • 블랑 드 블랑(Blanc de Blanc) : 샤도네이라는 청포도로 만든 샴페인

당도에 따른 구분

  • Brut : 당 1.5%이하로 들어간 샴페인. 달지 않음
  • Extra Sec / Extra Dry : 당 1.2-2% 함유. 약간의 잔당감
  • Sec : 당 1.7-3.5% 함유. 중간 정도의 잔당감
  • Doux : 당 5% 이상 함유. 당도 높음

샴페인을 구매하시거나 마실 때 위의 내용을 참고하셔서
마음에 꼭 드는 맛있는 샴페인을 즐기시길 바랍니다:)